간경변증은 간에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하는 심각한 상태로, 간경변증 사망률은 질병의 단계와 관리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. 일반적으로 간경변증 환자의 예상 생존 기간은 약 2~12년으로 다양하며 아래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. 아울러 간호진단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.
간경변증 사망률 (단계별)
- 보상성 간경변증 (Compensated Cirrhosis):
- 증상이 없는 단계로, 평균 생존 기간은 약 9~12년입니다.
- 매년 5~7%의 환자가 증상을 보이기 시작합니다.
- 비보상성 간경변증 (Decompensated Cirrhosis):
- 증상과 합병증이 나타나는 단계로, 평균 생존 기간은 약 2년입니다.
- 이 단계에서는 간 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사망률 예측 Tool
- Child-Turcotte-Pugh (CTP) 점수:
- 환자의 증상과 합병증을 바탕으로 점수를 매깁니다.
- 점수에 따라 클래스 A, B, C로 분류되며, 각 클래스에 따른 생존률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클래스 A (5-6점): 3개월 생존률 95.7%, 1년 생존률 95%, 2년 생존률 90%
- 클래스 B (7-9점): 3개월 생존률 88.8%, 1년 생존률 80%, 2년 생존률 70%
- 클래스 C (10-15점): 3개월 생존률 59.9%, 1년 생존률 45%, 2년 생존률 38%
- 말기 간질환 모델 (MELD) 점수:
- 빌리루빈, INR, 크레아티닌 수치를 측정하여 환자의 사망 위험을 예측합니다.
- 점수가 높을수록 사망 위험이 커지며, 점수에 따른 사망률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9 미만: 사망률 1.9%
- 10-19: 사망률 6.0%
- 20-29: 사망률 19.6%
- 30-39: 사망률 52.6%
- 40 이상: 사망률 71.3%
간경변증 진단: 평가 및 검사 방법
간경변증은 여러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. 정확한 진단을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이 적용됩니다.
간경변증 진단 방법
간경변증 진단은 여러 단계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.
- 의학적 평가:
- 환자의 병력, 증상, 신체 검사를 통해 초기 평가를 합니다.
- 증상에는 피로, 황달, 복수, 혼란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- 혈액 검사:
- 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간 효소 수치, 빌리루빈, 알부민, INR 등의 수치를 측정합니다.
- 간경변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간염 바이러스 검사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
- 영상 검사:
- 초음파, CT 스캔, MRI 등을 통해 간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합니다.
- 간의 크기, 모양, 질감 변화를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.
- 간 생검:
- 간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분석함으로써 간경변증의 정도를 확진합니다.
- CTP 및 MELD 점수 계산:
- CTP 점수는 간경변증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, MELD 점수는 환자의 사망 위험을 예측하고 간 이식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간경변증 간호 진단 가이드라인
간경변증 환자를 위한 간호진단은 증상 관리, 합병증 예방,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. 다음은 간경변증 환자를 위한 주요 간호진단입니다.
간경변증 간호진단 우선순위
- 간 기능 관리 및 모니터링
- 간경변증과 관련된 합병증 관리 (문맥 고혈압, 복수 등)
- 증상 관리 및 삶의 질 향상
- 식이 조절 및 수분 제한 교육
- 증상 관리 및 질병 진행 속도 감소를 위한 약물 투여
- 합병증 관리 (간성 뇌병증, 정맥류 출혈 등)
- 생활습관 변화 상담 및 지원 (금주, 체중 관리 등)
간호 사정
주관적 및 객관적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평가합니다:
- 피로 및 허약감 호소
- 복부 통증 또는 불편감 보고
- 복수의 존재 (복부 팽만 및 이동성 둔탁음 확인)
- 구역질, 구토, 식욕 변화
- 알코올 남용 또는 과도한 음주 병력
- 황달 (피부 및 눈의 황변) 호소
- 가려움증
- 체중 감소 또는 체중 변화
- 응고 장애 또는 쉽게 멍이 드는 병력
- 간성 뇌병증 징후 (정신 상태 변화, 혼란, 손 떨림 등)
- 거미 혈관종 또는 손바닥 홍반의 존재
- 간 효소 (ALT, AST), 빌리루빈 및 INR 상승
간호 진단
- 영양 불균형: 요구량보다 적음
- 목표: 체중 증가 및 실험실 수치 정상화
- 중재: 영양 섭취 증진, 영양제 제공
- 체액 과다
- 목표: 체액 균형 유지, 부종 감소
- 중재: 이뇨제 투여, 수분 섭취 제한
- 피부 통합성 장애
- 목표: 피부 통합성 유지, 가려움증 감소
- 중재: 피부 관리, 보습제 사용, 가려움증 완화제 제공
- 호흡 패턴 비효율성
- 목표: 호흡 패턴 유지, 호흡 곤란 및 청색증 없음
- 중재: 호흡 운동, 산소 요법 제공
- 출혈 위험성
- 목표: 출혈 예방, 정상적인 혈액 응고 유지
- 중재: 출혈 모니터링, 출혈 예방을 위한 교육 제공
- 감염 위험성
- 목표: 감염 예방, 감염 징후 없음
- 중재: 감염 예방 교육, 위생 관리 강화
- 자가간호 결핍
- 목표: 자가간호 능력 증진
- 중재: 자기 관리 교육, 생활습관 변화 지원
- 비효율적 대처
- 목표: 대처 능력 향상, 스트레스 관리
- 중재: 상담 및 심리적 지원 제공
- 지식 부족
- 목표: 질병 및 관리 방법에 대한 이해 증진
- 중재: 질병 과정 및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 제공
간호 목표
- 환자는 체중 증가 및 실험실 수치 정상화의 목표를 달성할 것입니다.
- 환자는 추가적인 영양실조 징후를 경험하지 않을 것입니다.
- 환자는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 부종이 없을 것입니다.
- 환자는 피부 통합성을 유지할 것입니다.
- 환자는 호흡 패턴을 유지하고 호흡 곤란이 없을 것입니다.
- 환자는 출혈 없이 항상성을 유지할 것입니다.
- 환자는 정신 상태를 유지할 것입니다.
- 환자는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행동을 시작할 것입니다.
- 환자는 질병 과정 및 예후, 잠재적 합병증에 대한 이해를 나타낼 것입니다.
- 환자는 필요한 생활 습관 변화를 식별하고 시작하며 관리에 참여할 것입니다.
결론
간경변증은 심각한 상태이지만,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생존 기간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간경변증 사망률, 진단, 간호진단에 대한 이해를 통해 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 간경변증 환자를 돌보는 모든 의료진은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한 적절한 간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